728x90
728x90
Key Results 윈도우(Windows) 상에서 특성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찾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방법 확인 Contents 윈도우에서 특정 포트(port)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찾기 위해서는 netstat 및 findstr 명령어를 사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우선 Win + R 키하여 실행창을 띄운 뒤 cmd를 실행합시다. netstat -ano를 하면 현재 사용중인 모든 활성 포트 정보가 출력됩니다. 좀 더 범위를 좁히기 위해 netstat -ano | findstr '특정포트 번호' 를 입력하면 해당 포트 관련 정보만 출력됩니다. 맨 끝의 PID가 프로세스의 ID인데 PID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asklist /svc /FI "PID eq 포트번호" 를 입력하여 프로세스 정보를..
작업관리자로도 종료되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일반적으론 재부팅하지 않으면 해결이 안되죠 ㅜ 그럴때 cmd에서 PID를 찾아서 강제로 종료시키는 방법입니다. tasklist /fi “status eq not responding" 윈도우 + R 키를 누르셔서 실행창에서 CMD를 쳐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비응답 프로그램이 출력됩니다. 제 경우는 Notion이 출력되었습니다. 비응답 프로그램의 PID를 확입합니다. 제 경우에는 PID가 11844 가 됩니다. 그 뒤 tskill PID 하여 프로그램을 종료시킵니다. 여기서는 tskill 11844가 됩니다. 내장 프로그램인 tskill 외에 pskill이라는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
점심시간에 사무실에서 카드사 결제를 하려다가 nProtect 때문에 빅엿을 먹었습니다. 음슴체로 써볼게요 발단은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으로 파이썬 데이터 모델링을 돌리고 있었는데 대략 3시간 예상에 2시간 정도 소요되고 있던 시점이었음. 그러던 도중 점심시간이 되어서 파이썬은 계속 돌아가고 익스플로러로 카드 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대금 결제를 하려고 하는데 갑자기 저렇게 알림이 뜨면서 Python을 차단했다는 알림이 뜬 것임. nProtect 가 저렇게 알림이 뜨는거야 한두번도 아니니 그냥 허가 눌러주고, 카드 대금 결제를 정상적으로 마침. 그런 다음 다시 주피터 노트북으로 들어가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화면과 마주하게 됨..ㄷㄷㄷ 커넥션 페일... ㅋㅋㅋ 멘붕에 빠져 다시 개별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